금 ETF

월 10만 원 금 ETF 투자, 10년 뒤 얼마가 될까?

numkeunee 2025. 7. 23. 10:15

금 ETF, 왜 꾸준한 투자가 답일까?


글로벌 경제가 흔들릴 때마다 주목받는 자산이 있습니다
바로 ‘금’입니다 그러나 실물 금을 직접 사는 것은 보관과 거래가 불편하죠


이런 점에서 금 ETF(상장지수펀드)는 소액으로
금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입니다
특히 매달 일정 금액을 자동으로 투자하는 방식(DCA)은 변동성을 줄이고,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전략입니다



국내 상장된 금 ETF,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?


현재 국내 증시에 상장된 대표 금 ETF로는 다음과 같은 상품들이 있습니다:
• KODEX 골드선물(H) – 수수료 0.39%,
             환헤지 적용
• TIGER 금선물(H) – 수수료 0.42%,
             거래량 높고 유동성 풍부
• ACE KRX금현물 – 실물 금 가격 연동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환헤지 없음

이 중 수수료는 낮으면서도 거래량이 많은 ETF는 KODEX 골드선물(H)입니다. 안정성과 수수료, 유동성을 모두 고려할 때 초보 투자자에게 적합하죠



매달 10만 원씩 금 ETF 투자했을 때, 수익은?


그렇다면 실제로 매달 10만 원씩 투자하면 3년·5년·10년 후 자산은 얼마나 될까요?
아래 표는 연평균 수익률 8% 기준으로 복리 계산한 결과입니다

💹 월 10만 원 금 ETF 투자 결과
(연 8% 수익률 기준)



☑️ 연평균 수익률: 8.0%
☑️ 최대 낙폭(MDD): -12.0% (보수적 추정)




ISA 계좌에서 금 ETF 투자하면 뭐가 좋을까?


금 ETF는 일반 계좌에서도 매매가 가능하지만,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에서 운용하면 세금 절감 효과가 큽니다

• 일반 계좌: 수익에 대해 15.4%의 배당소득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또는 양도소득세 부과
• ISA 계좌:
• 순이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
• 초과분은 9.9% 분리과세

위 표 기준으로 보면, 10년 후 수익 6,294,604원 중 969,369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이는 단순 수익률이 아닌 실수령액을 높이는 전략입니다.




꾸준한 금 ETF 투자가 주는 안정감


금 ETF는 주식처럼 급등락하지 않고, 세계 정세에 따라 천천히 가치가 움직이는 안전자산입니다
단기 수익을 노리기보다 장기 투자, 분산 투자, 자동 투자가 핵심입니다

📌 요약하자면:
• 금 ETF는 실물 금의 단점을 보완한 투자 수단
• 수수료와 거래량 고려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KODEX 골드선물(H) 추천
• 매달 10만 원씩 투자하면 10년 후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 18,294,604원 자산 형성
• ISA 계좌 활용 시 약 97만 원 세금 절감




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았다


복리는 시간이 쌓일수록 강력해집니다
소액이라도 지금 시작하는 금 ETF 투자가, 10년 후의 자산 격차를 만듭니다

오늘 바로 계좌를 열고 자동 투자 시작해보세요
당신의 10년 후 자산, 지금부터 바꿀 수 있습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