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 ETF

1년 만에 40% 수익? 금 ETF, 최근 실적 완벽 분석

numkeunee 2025. 7. 29. 09:55

왜 “금 ETF + 1년”인가?


최근처럼 인플레이션, 환율 변동성, 지정학적 불안이 혼재한 시기에는 금이 다시 안전자산으로 급부상합니다


특히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계좌에서 운용 가능한 현물 금 ETF(환헤지 없는 언헷지 구조)는 자산 분산도 쉬우며, 환율 상승 시 환차익도 덤으로 얻을 수 있어 네이버·구글 검색자들이 자주 찾는 키워드입니다
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대표 언헷지형 금 ETF인
ACE KRX금현물 ETF를 중심으로 분석합니다.
더불어 환헤지형 금 선물 ETF(KODEX 골드선물(H))와 비교하고,환율 변화, 절세 효과까지 모두 고려한 실전 투자 시뮬레이션 예시까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


핵심 금 ETF 2종 비교



ACE KRX금현물 ETF는
• KRX 금 현물 지수 추종
• 1년 수익률 약 38–39%  

KODEX 골드선물(H)은
• 국제 금 선물 기반, 환헤지까지
• 1년 수익률 약 39.5%  

두 상품 모두 ISA 계좌에서 활용 가능하고, 금값 상승 흐름에 잘 올라탄 모습입니다


금 ETF 환율 영향과 수익률 재검토


1. 최근 1년 원/달러 환율 변화
• 1,400 → 1,460원으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약 60원 상승 (원화 약세)
• 환율 상승분 약 4.3% 수익 추가 효과

2. 언헷지형(ACE)의 총합 수익
• 금 시세 상승 약 35–36%
            + 환차익 4.3% = 39–40%

3. 헤지형(KODEX)의 수익
• 환영향 제외, 금 시세 상승분만 반영
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비슷한 약 39‑40%

➡️ 결과적으로 두 ETF 모두 1년 만에
       목표 수익률인 ‘약 40%’ 정도의 수익률을 기록했      
       습니다



지난 1년간 1,000만 원 투자 했을시,
예상 실현 수익 시뮬레이션




※ 실제 수익은 운용보수 0.5~0.7%, 환율 정산 비용 등을 뺀 값입니다



ISA 계좌 절세 시뮬레이션

ISA 계좌 내 금 ETF 투자 시:
• 비과세 한도: 연 200만 원 이익
• 초과 금액 분리과세 9.9% 적용
(일반 매매차익 배당소득세 15.4% 대비 절세 효과 큼)  

예시 계산
• 1,000만 투자 → 예상 수익 +395만 원
• 이 중 200만 원 면세,
   나머지 195만원은 9.9% 분리과세
• 결과: 세금 약 19만원,
             일반 계좌 대비 약 40만 원 절세 효과 확보



금 ETF 환헤지 vs 언헷지 투자 팁


언헷지형(ACE)
✔ 금 + 환차익 동시 노리기
✖ 원화 강세 시 환손실 가능성 존재

환헤지형(KODEX)
✔ 금 상승만으로 안정적 수익
✖ 환차익 기회는 상실

✅ 추천 전략:
금 시세 상승이 예상되면 언헷지 중심,
환율 안정적일 경우 헤지 중심 배분도 고려 가능.



마무리 – 금ETF 투자자별 전략 요약

• 단기 고수익 추구형
            : 환차익 포함한 언헷지형에 무게
• 안정 중시형
            : 환블랙스완 방어 가능한 헤지형 추천
• 절세 헤택 극대화: ISA 계좌 적극 활용
• 혼합 전략: 포트폴리오 내 금 ETF 비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5–10%, 언·헤지 비율 조정